MZ세대를 중심으로 비거니즘 소비가 대세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해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발표한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2030세대의 50% 이상이 비건 라이프를 살아볼 의향이 있다고 답해 눈길을 끌었다.
이처럼 비건과 친환경적인 삶에 대한 2030 MZ세대의 ‘비거니즘’ 열풍이 가속화되면서 비건 식품을 넘어 영양제부터 간식, 뷰티, 패션에 이르기까지 비거니즘이 다양한 소비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MZ세대 비건인을 위한 비건 영양제
MZ세대의 비거니즘 바람은 건기식 시장에서 특히 눈에 띈다. 비건을 비롯한 미닝아웃 소비를 지향하는 MZ세대 소비자들은 동물성 소재 및 동물실험을 진행하지 않는 착한 비건 영양제를 구매 조건 중 하나로 꼽는다.
아이허브는 이미 20여 년 전부터 비건, 크루얼티(동물실험) 프리, GMO(유전자 변형 성분) 프리 등 3만여 종에 달하는 다양한 제품을 제공하며 MZ세대의 니즈를 만족시키는 해외 직구 플랫폼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아이허브는 비건인에게 부족할 수 있는 칼슘, 오메가3, 단백질, 비타민B12 성분을 함유한 비건 전용 영양제를 판매하고 있으며 팩틴으로 만든 비건 구미젤리 등 다양한 식물성 제제 영양제도 선보이고 있어 비건인들 사이에서 ‘비건인의 성지’로 불리고 있다.
아이허브 코리아 이주현 홍보팀장은 “최근 10년간 한국 시장에서 비건 카테고리 항목 판매율이 괄목할 만한 성장을 기록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비건 인구 증가와 함께 비건 제품 수요가 점차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아이허브는 더욱 다양한 카테고리의 비건 제품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전했다.
대체육과 식물성 소스를 활용한 비건 간식
최근 간식 분야에서도 비건의 인기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최근 비건인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대체육 브랜드 ‘언리미트’는 식물성 육포부터 버거 패티, 만두, 비건 체다치즈까지 다양한 비건 간식을 선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CU, 칭따오, 파리바게뜨 등 국내 대형 기업과 함께 고기 없는 고기 식품을 내놓으며 MZ세대를 비롯한 비건인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친환경 비건 뷰티도 인기
지난해 CJ올리브영이 발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10명 중 9명이 ‘화장품 구매 시 사회와 환경에 도움이 되는 제품을 선택할 것’이라고 답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러한 ‘비건 뷰티’ 시장 선발 주자 브랜드인 러쉬는 1995년 출범 초기부터 △환경 보호 △동물실험 반대 △과대 포장 반대 등 자체적인 윤리 정책을 진행해왔다. 러쉬코리아는 최근 제품에 달걀을 사용하지 않는 ‘에그 프리(Egg Free)’까지 선보이며 판매 제품의 95% 정도를 비건 제품으로 판매하고 있다.
선인장, 와인 이용한 비건 패션까지 가세
인기 예능프로그램 ‘놀면 뭐하니’의 환불원정대 편에서 노출된 호랑이 셔츠가 MZ세대에게 폭발적인 관심을 끌었다. 트렌디한 디자인과 비건 패션이라는 점이 인기 요인이었다. 이 티셔츠는 대표적인 비건 패션 브랜드 ‘비건타이거’의 작품인데 유기농으로 재배한 선인장은 물론 와인을 착즙하고 남은 찌꺼기, 콩기름으로 만든 폴리에스터로 제작했다.
최근 이 브랜드의 비건 패션을 구입했다는 비건인 윤태진(20, 학생)씨는 “최근 여러 기업에서 비건인을 위한 다양한 제품을 출시하고 있어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며 “나의 건강뿐 아니라 동물 윤리, 환경 보호를 위해서라도 계속 비거니즘 소비를 지속해 갈 것”이라고 전했다.
이처럼 MZ세대 사이에서 확산되고 있는 ‘비거니즘’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따라서 비거니즘 소비는 미닝아웃과 같은 가치소비 트렌드에 힘입어 일시적 현상에 머무르지 않고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는 것이 업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