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일, 5월 14, 2025
No menu items!
spot_img

K-뷰티, ‘아메리칸 드림’에 한발짝 다가서다

레페리 엔터테인먼트, 스타일하울과 손잡고 미국 진출 세미나 개최

K-뷰티가 중국과 아시아 시장을 넘어 아메리칸 드림을 이뤄낼 수 있을까?

한국과 미국을 각각 대표하는 MCN 기업 레페리 엔터테인먼트와 스타일하울이 이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지난 23일 삼성동 오크우드호텔에서 한국 뷰티기업들의 미국시장 진출을 위한 세미나 미국향 뷰티 디지털 마케팅 세미나아메리칸 드림(American Dream)’이 열린 것.

K-뷰티는 아시아 시장, 특히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급격한 성장을 이뤄왔다. 하지만 최근 사드여파로 인해 쓴 고비를 맛보면서 중국 시장에만 기대하기 보다는 제2, 3의 시장 개척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날 행사에는 한국의 뷰티 브랜드 해외영업 담당자들이 참석해 자리를 모두 채운 가운데, 최인석 레페리 대표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3파트에 걸친 세미나와 Q&A, 자유 네트워킹 시간이 차례대로 진행됐다.

최인석 레페리 대표는 “‘아메리칸 드림은 희망과 좌절이라는 중의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멀게만 느껴졌던 미국시장에 한류바람이 불고 K-뷰티라는 카테고리가 등장하면서 희망과 꿈을 상징하기도 하지만, 고도화된 미국시장에 진입한다는 것은 때로는 좌절의 결과로도 다가올 수 있기 때문에 현지에 가장 적합한 전략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오늘 마련된 미국진출 솔루션을 통해 한국의 많은 뷰티기업들이 아메리칸 드림을 이뤄내고, ‘K-뷰티가 중국시장에서만 통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세미나 첫 시간은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인 아마존코리아의 강희수 매니저가 나서 아마존을 통한 해외 판매 기회에 대해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아마존은 글로벌 시장의 진입 장벽을 낮추기 위해 11개의 마켓 플레이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연간 구매 고객은 3억명에 달한다.

특히 아마존을 통한 해외 진출의 포인트로 FBA(Fulfillment by Amazon) 프로그램이 소개됐다. FBA를 이용하면 셀러는 판매할 상품을 한꺼번에 아마존 물류센터로 발송하고, 상품 분류부터 포장, 배송, CS, 반품까지 아마존이 대행을 맡아 해외 판매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 한국에서 배송을 하게 되면 미국에 배송되기까지 몇 주의 시간이 걸리지만, FBA를 이용할 경우 아마존 물류센터에서 이틀 내에 미국 전역에 배송이 가능하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이어 스타일하울의 션 호바스 최고혁신책임자가 글로벌 뷰티&라이프스타일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스타일하울의 컨텐츠는 월별 20억 뷰, SNS 팔로워 15억명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요 시청자는 18~34세 여성으로 55%를 차지하고 있다.

션 호바스는 미국의 뷰티시장 규모와 소비자들의 구매 행태, 2017년 뷰티 트렌드 등 미국 시장 진출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전달했다. 미국의 뷰티시장 규모는 17억 달러(19244억원)로 세계에서 가장 크며, 소비자들은 다양한 브랜드를 구매하고 뷰티 트렌드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소셜 미디어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포라’, ‘’, ‘베네피트’, ‘타르트’, ‘어반디케이등 글로벌 뷰티 브랜드들의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는 스타일하울의 마케팅 사례들이 영상으로 공개돼 시선을 끌었다.

마지막으로 이동후 레페리 전무가 미국 디지털 인플루언서 마케팅 솔루션 소개강연자로 나섰다. 그는 미국은 전세계에서 3번째로 한국 화장품을 많이 수입하는 국가라며 미주지역으로의 진출을 준비할 시기라는 점을 어필했다.

특히 뷰티 브랜드의 미국 내에서의 성공은 품질을 기본 전제로 한다는 것을 강조했다. 품질을 바탕으로 인플루언서들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진정성 있는 제품 사용 후기를 보여준다면 매출 증진의 가능성을 높여갈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RELATED ARTICLES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Popular News

HOT NEWS

- Advertisment -
Google search eng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