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조사기관 트랜드리서치(대표 김용수)가 주관하는 ‘글로벌패션빅데이터 2024’에 의하면, 2023년 추동시즌 글로벌 패션브랜드가 출시한 여성의류품목의 평균소매가격은 831,945원으로 2022년 동기의 793,920원에 비해 4.8%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1년 15.5%, 2022년 15.9%에 이어 3년 연속 상승세를 기록해서 5개년 연평균성장률은 4.5%를 기록했다.
출처) 글로벌 패션브랜드 출시제품 속성지수 – 추동시즌 여성의복품목 소매가격추이
* ㈜1 세계 통화에 대한 표준화 작업은 한국에서 해외제품을 직구할 경우의 방식을 적용하였음. 해외 현지가격에 운송비(제품가5%), 매매기준율 평균환율 (2023 FW는 2023년 9월 1일~11월 24일 기간)평균환율 + 30%(관세+운송비+부가가치세), 관세 13%, 통관수수료 5%를 가산한 것에 부가가치세 10%를 더했음
* ㈜2 가격 조사를 할 때 특이한 제품, 매우 비싸거나 특이한 가격은 제외 (예; Gucci 코트 19,800,000원 제외)
(출처) 글로벌 패션브랜드 출시제품 속성지수 – 추동시즌 여성의복품목 소매가격추이
* ㈜1 세계 통화에 대한 표준화 작업은 한국에서 해외제품을 직구할 경우의 방식을 적용하였음. 해외 현지가격에 운송비(제품가5%), 매매기준율 평균환율 (2023 FW는 2023년 9월 1일~11월 24일 기간)평균환율 + 30%(관세+운송비+부가가치세), 관세 13%, 통관수수료 5%를 가산한 것에 부가가치세 10%를 더했음
* ㈜2 가격 조사를 할 때 특이한 제품, 매우 비싸거나 특이한 가격은 제외 (예; Gucci 코트 19,800,000원 제외)
* ㈜3 의류품목은 Outer 외의(코트, 점퍼사파리, 자켓), Inner 내의(조끼, 우븐셔츠, 니트셔츠, 스웨터), Bottom 하의(바지, 스커트), Dress 드레스(원피스(점퍼슈트포함)) 등 10개 세부품목, 4개 대분류로 구분했음
(출처) 글로벌 패션브랜드 출시제품 속성지수 – 추동시즌 여성의복품목 소매가격추이
* ㈜1 세계 통화에 대한 표준화 작업은 한국에서 해외제품을 직구할 경우의 방식을 적용하였음. 해외 현지가격에 운송비(제품가5%), 매매기준율 평균환율 (2023 FW는 2023년 9월 1일~11월 24일 기간)평균환율 + 30%(관세+운송비+부가가치세), 관세 13%, 통관수수료 5%를 가산한 것에 부가가치세 10%를 더했음
* ㈜2 가격 조사를 할 때 특이한 제품, 매우 비싸거나 특이한 가격은 제외 (예; Gucci 코트 19,800,000원 제외)
* ㈜3 조성섬유 속성지수는 원단에 조성된 섬유 종류(Composed Fiber types)를 분석한 결과치이므로, 조성섬유 전체에 대한 혼용률(FiberMixing ratio)은 아님을 주의하시기 바람
(출처) 글로벌 패션브랜드 출시제품 속성지수 – 추동시즌 여성의복품목 소매가격추이
* ㈜1 세계 통화에 대한 표준화 작업은 한국에서 해외제품을 직구할 경우의 방식을 적용하였음. 해외 현지가격에 운송비(제품가5%), 매매기준율 평균환율 (2023 FW는 2023년 9월 1일~11월 24일 기간)평균환율 + 30%(관세+운송비+부가가치세), 관세 13%, 통관수수료 5%를 가산한 것에 부가가치세 10%를 더했음
* ㈜2 가격 조사를 할 때 특이한 제품, 매우 비싸거나 특이한 가격은 제외 (예; Gucci 코트 19,800,000원 제외)
* ㈜3 글로벌 패션브랜드들이 활동하는 시장을 “제품평균가격”을 기준으로 5개 등급군으로 구분 – 최고가 시장 (Luxury Market), 고가 시장 (Prestige Market), 중가 시장 (Bridge Market), 중저가 시장 (Better Market), 저가 시장 (Budget Market))으로 명명. 저가시장에는 ZARA, 8seconds(한국) 등이 포함
한편, 트랜드리서치 접속을 통해 글로벌패션제품 빅데이터 중 에서 ‘패션브랜드 출시제품 속성지수 – 2023 추동시즌 소매가격’ 분석 페이퍼와 통계치를 무료로 열람할 수 있다.
‘글로벌패션빅데이터’는 패션소재기업 출시 신제품 5개 속성지수, 패션기업 캣워크 디자인 7개 속성지수, 패션브랜드 출시제품 9개 속성지수를 연간 2회(봄여름(SS시즌), 가을겨울(FW시즌))에 걸쳐 수집하고 있다. 또한 ‘글로벌패션소재 빅데이터’ ‘글로벌패션제품 빅데이터’로 나눠서 속성지수 추이를 발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