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탁금지법(일명 김영란법) 개정으로 농축수산물 선물 상한액이 10만원으로 상향 조정되면서 백화점의 설 선물세트 매출이 두 자릿수 이상 증가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백화점의 이번 설 선물세트 매출(예약판매 제외)은 지난해 설보다 14.8% 올랐다. 축산(19.5%), 청과(12.1%), 굴비(9.4%), 건강(11.7%) 등 신선 선물세트 매출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
현대백화점의 설 선물세트 매출도 지난해 동기 대비 15.2% 올랐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정육(19.1%)이 가장 많이 올랐다. 이어 청과(18.3%), 건강(17.7%), 수산(15.6%) 매출이 뒤를 이었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설 선물세트 매출이 오랜만에 두 자릿수 이상 신장했다“며 “김영란법 개정 영향으로 국내산 농·축·수산물의 신장세가 두드러졌다“고 말했다.
신세계백화점의 설 선물세트 매출은 10.8% 증가했다. 건강·차(37.5%), 와인·주류(19.9%), 청과(15.0%), 축산(4.5%), 수산(3.1%) 등의 매출 증가가 두드러졌다.
가격대별로 5만∼10만원 사이 선물세트 매출이 전년 대비 36.2% 신장하며 김영란법 개정 효과를 증명했다.
5만원 이하 선물세트의 매출 역시 지난 설보다 30.6% 신장했다. 합리적 소비를 중시하는 트렌드로 인해 조미료, 가정간편식, 5만원 이하 전통주 등의 수요가 늘었기 때문이다.
갤러리아의 설 선물세트 매출은 15% 올랐다. 5만∼10만원대 선물세트가 전년 대비 30% 신장하며 가격대별 선물세트 중 가장 높은 신장률을 기록했다.
반면 5만원 미만 상품의 비중이 높은 대형마트에서는 비교적 낮은 매출 성장세를 보였다.
이마트의 올해 설 선물세트 매출신장률은 1.2%로 최종 집계됐다. 축산(12.5%), 수산(11.0%), 조미료(9.9%), 통조림(3.7%) 매출 증가가 두드러졌다. 반면 건식품(-11.7%)과 생활용품(-11.8%), 양말(-3.8%) 매출은 감소했다.
가격대별로 5만∼10만원대 매출이 3.6% 증가했고 5만원 미만 선물세트 매출은 1.4% 늘었다. 10만원 이상 선물세트 매출은 4.0% 감소했다.
롯데마트의 설 선물세트 매출은 전년 대비 0.2% 신장했다. 건강기능식품(6.4%)과 신선(3.6%), 채소(3.4%), 축산(1.0%), 과일(0.5%) 등의 매출이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