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일, 5월 14, 2025
No menu items!
spot_img

인공지능팩토리, AI 챗봇 서비스…‘WERT(베어트)’ 출시

인공지능팩토리(대표 김태영)가 구독형  AI 챗봇 서비스 ‘WERT(베어트)’ 를 공식 출시했다. 신규 AI 챗봇 서비스 WERT(베어트)는  2024년 12억 달러(1조 6,161억원)규모의 글로벌 시장을 타깃으로 개발했다.

WERT(베어트)는 원하는 형태와 방식으로 맞춤형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구독형 인공지능 챗봇서비스로  지식기반형, 태스크 연동형, 리포트 생성형 총 3가지 유형으로 구성돼 있다.

유형별 특징을 살펴보면 지식기반형 챗봇은 사용자가 제공한 PDF, Word, HWP등의 파일을 ChatGPT 처럼 대화를 주고 받으며 정보를  제공 할 수있으며,  태스크 연동 챗봇은 사내에서 제공하고 있는 시스템이나 API를 연동하여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적절한 도구를 실행시키는 챗봇으로 수치 분석이나 Vision AI 등도 연동할 수 있다.  리포트 생성 챗봇은 업무 자동화 분야 중 하나로 문서나 웹 사이트를 기반으로 주기적으로 보내는 정기보고서나 뉴스레터 발간 등 원하는 형식의 보고서를 작성해 준다.

인공지능팩토리는 서비스 개발과정에서 인공지능 분야의 경험을 살려 사용자가 쉽게 챗봇을 스스로 생성하고 관련 문서를 쉽게 업로드할 수 있으며, *온프레미스상에서도 원활하게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로컬 LLM의 안정적인 추론 환경 구축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을 했다. 이로 인해 기업들은 단순 업무나 문서작업 등에 대한 시간과 인력자원 소모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무거운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손 쉬운 사용이 가능하다.

세계 AI 챗봇 시장이 2024년 12억 달러(1조 6,161억원)에서 연평균 19.29% 성장해 2032년에는 49억달러(6조 6,003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출처: Precedence Research)

인공지능팩토리의 김태영 대표이사는 “AI 챗봇 시장의 가파른 성장을 사전 예측하여 지난 4년간 발전시킨 플랫폼 기술 기반으로 챗봇까지 연동시키는 플랫폼 고도화를 이루어 낼 수 있었으며,  WERT(베어트)를 통해  기업은 연중무휴로  단순 업무를 인공지능 챗봇으로 대신 처리할 수 있어 기업 경비 절감에 크게 기여 할 수 있다” 고 말했다.

한편, 인공지능팩토리는 최근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에서 주관한 인텔리전스 대상 시상식에서  자체개발 인공지능플랫폼이 우수상을 수상한 바있으며,  지난해  한국마이크로소프트와 중소벤처기업부의 ‘마중 프로그램 지원사업’에 선정되기도 했다.

RELATED ARTICLES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Popular News

HOT NEWS

- Advertisment -
Google search eng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