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일, 5월 15, 2025
No menu items!
spot_img

이랜드, 셀러들을 위한 커머스 플랫폼 ‘콸콸’ 런칭

중국 이랜드 ‘샤오청쉬’ 성공 경험 바탕으로 한국형 신소매 커머스 혁신 주도할 것

이랜드가 온라인 쇼핑 시장을 공략할 새로운 커머스 플랫폼을 선보인다.
이랜드는 올해 상반기 중, 카카오와 협업하며 준비해온 한국형 신소매(New Retail) 플랫폼 ‘콸콸’(Qual Qual)을 론칭한다고 30일 밝혔다. 퀄리티&퀄리티의 줄임말인 ‘콸콸’은 ‘양질의 상품을 높은 안목을 가진 사람들이 선택하고 추천하는 플랫폼’이라는 의미와 ‘수익금이 콸콸 쏟아진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콸콸’은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한 플랫폼으로 별도의 설치 없이 상품의 구매와 판매를 혁신적으로 간편화한 플랫폼이다. 개인 블로그 혹은 팔로워 수가 많은 SNS를 보유해야만 셀러로 활동할 수 있는 타 플랫폼과 달리 카카오톡만 깔려 있으면 누구나 이랜드가 보유한 약 300만 개 상품을 취향에 맞춰 골라 판매하고 리워드를 받을 수 있다. ‘N잡러’, ‘부캐’ 등 본업과 별개로 새로운 경제 활동이 활발해진 최근 트렌드를 반영했다.

주변 지인에게 팔고 싶은 상품의 공유 링크를 보내고 해당 링크를 통한 판매가 발생할 경우 판매 금액의 3~5%를 즉시 ‘탭머니’(TapMoney)로 적립해 준다. ‘탭머니’는 수도꼭지(Tap)에서 물이 콸콸 나오는 것처럼 셀러들의 수익금이 콸콸 쏟아지길 바라는 의미다. 수익금의 최대한도는 따로 없다.
또한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이 비슷해 평소 좋아하던 인플루언서가 직접 선별한 상품을 간단한 공유 링크를 통해 손쉽게 구매할 수도 있다.

실제로 테스트 오픈 기간에 진행된 기획전에서 셀러 1명을 통한 최고 매출이 하루에 5천만 원 이상 나오기도 했다. 고슴도치를 키우는 유튜버 ‘냥이 아빠’는 구독자에게 평소 좋아하는 브랜드인 ‘후아유’의 맨투맨을 ‘콸콸’을 통해 추천했고 1시간 만에 1625명이 후아유의 맨투맨을 구매했다.

이랜드 관계자는 “콸콸은 기존의 ‘검색’ 중심의 쇼핑문화를 ‘추천’ 중심 쇼핑 문화로 바꾸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라면서 “누구나 자신의 취향에 맞는 상품을 판매하는 셀러가 될 수 있어 N잡러 시대를 대표하는 플랫폼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중국 신소매 성공 경험 살려 한국형 신소매 커머스 혁신 주도
이번 플랫폼 론칭에는 중국 이랜드의 온라인 전략인 ‘샤오청쉬’(중국 위챗 기반 신소매 커머스)의 성공 경험이 밑바탕이 됐다. 중국은 ‘샤오청쉬’를 기반으로 빠르게 온라인 시장이 옮겨가고 있다.
‘샤오청쉬’는 고객에게 1:1로 상품을 제안하고 판매하는 셀러 관리가 핵심인데 이랜드는 중국에서 1만 3천여 명의 셀러를 관리하며 쌓은 노하우를 토대로 한국형 신소매 커머스 혁신을 주도하고 빠르게 시장을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중국 이랜드가 관리하는 셀러들은 VIP 고객그룹 채팅방을 운영하며 자신만의 플랫폼을 만들어 나가고 있다.

중국 이랜드는 21개 브랜드의 4천여 개 매장이 샤오청쉬를 통해 상품을 판매하며 작년 한 해 샤오청쉬로만 1천억 매출을 달성했다. 이랜드 샤오청쉬 회원 수는 330만 명까지 늘어나며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올해 샤오청쉬로 2천억 매출이 예상된다.

‘좋은 건 함께 사요’, 취향을 공유하는 새로운 경제 활동 플랫폼의 탄생
이랜드는 ‘콸콸’이 자신의 취향을 주변 사람들에게 스스럼없이 공유하고 합리적인 가격에 상품을 함께 구입하는 ‘공구(공동구매)’ 문화에 익숙한 MZ세대에 큰 인기를 얻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랜드가 운영하는 할인형 마트 ‘킴스클럽’은 ‘콸콸’을 통해 진행하는 ‘초신선 공구 마켓’은 한 번 진행할 때마다 평균 400-500명 사이의 고객이 몰리고 있다. 전국 50개 매장을 운영하며 산지 거래의 신뢰를 다져온 이랜드리테일이 큐레이션 한 신선 상품을 카톡방에서 편하게 구매할 수 있다. 상품은 ‘산지 직송 토마토’와 ‘초신선 목살’, ‘슈페리얼 등급 생연어’까지 매우 다양하다.

고객들의 반응 역시 뜨겁다. 공구 마켓에서 판매가 진행되는 상품을 지인에게 링크를 보내 직접 셀러가 되기도 하고 상품에 대한 피드백도 카톡방에서 바로 이루어진다. 이랜드는 상품에 대한 피드백을 직접적으로 받을 수 있고, 고객들은 때에 따라 구매자와 셀러를 자유롭게 오갈 수 있다.

이랜드 관계자는 “’콸콸’은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공유나 결제를 위한 별도의 절차가 필요하지 않아 접근성이 매우 높다”면서 “여기에 다양한 세대의 취향을 만족시킬 이랜드의 폭넓은 상품 구성력이 만나 강력한 시너지를 내며 2년 내 3천억 달성을 목표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랜드 국내외 신소매 플랫폼 활용사례ㅡ ① 이랜드리테일 ‘킴스클럽’ 인플루언서 셀러 사례 – ‘콸콸’
인플루언서, 체험단 등 일부 고객을 대상으로 진행중인 콸콸 베타 테스트에서 전문셀러로 활동하고 있는 인플루언서들의 반응도 매우 뜨겁다. 특히 킴스클럽 초신선 상품 ‘토망고(스테비아 토마토)’에 30명의 전문 인플루언서들이 몰려 셀링활동을 시작했고 참여한 셀러 100% 수익 창출하면서 누적 1,000건 이상의 주문이 일어났다.

인플루언서 셀러들은 “그동안 셀러활동을 하며 SNS 마켓시장에서 신뢰하고 판매할 수 있는 브랜드들을 선별하기 어려웠는데, 킴스클럽의 검증된 초신선 식품부터 킴스클럽 PB오프라이스, 리빙상품까지 다양한 상품들을 간단한 링크공유를 통해 소개 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메리트다”면서 “실제로 상품력에 대해 만족한 구매자들이 앵콜 요청을 하면서 재구매 대기자들이 생겨나고, 별도의 회원가입 절차 필요없이 간편결제로 구매할 수 있어 소비자들의 만족도도 매우 큰편이다”라고 말했다.

킴스클럽은 추후 고객과 진정성 있게 소통하는 ‘킴스클럽 셀러MD’를 선별해 고객이 원하는 상품을 직접 소싱하게 하고,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셀러와 고객이 모두 만족하는 시장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이랜드 국내외 신소매 플랫폼 활용사례ㅡ② 중국 이랜드 ‘스코필드’, ‘포인포’ 사례 – ‘샤오청쉬’
기존 오프라인 고객을 1:1로 관리하던 방식에서 단체방으로 전환을 유도해 판매사별 VIP 채팅방을 만들어 고객을 관리하고 있다. 상해 ‘스코필드 여성’ 매장은 고객과 소통하는 도구로 샤오청쉬를 활용해 약 400명의 VIP 고객을 확보해 월평균 매출이 2배 성장했다.

또한 청두 ‘포인포’ 매장은 기존 고객의 선호 아이템, 컬러, 가족관계, 사이즈, 직업 등을 기반으로 TPO에 맞는 상품을 샤오청쉬로 제안하면서 월 5천 만원의 매출을 달성하고 있다. 샤오청쉬를 통한 구매전환율 45%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이랜드 국내외 신소매 플랫폼 활용사례ㅡ③ 이랜드리테일 여성복 PB브랜드 ‘멜본’ 사례 – ‘콸콸’
고객 관리의 모습이 ‘콸콸’을 통해 완전히 바뀌고 있다. 기존에 문자로 신상품 출시나 행사 일정을 발송하던 것에서 벗어나 고객이 평소 구매하는 상품 취향에 맞춰 생생한 상품 이미지와 라이브 방송 URL을 큐레이션 해 발송하고 바로 결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게 되면서 진정한 옴니 채널을 구축할 수 있게 됐다.

이랜드리테일이 운영하는 여성복 PB 브랜드 ‘멜본’은 핵심 고객에게 콸콸로 상품 공유 링크를 발송하고 관련 라이브방송과 오프라인 기획전을 동시에 진행하며 하루에 1억 4천만 원의 옴니 매출을 달성했다. 이를 통해 브랜드 인지도와 매출을 동시에 쌓아나가고 있다.

RELATED ARTICLES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Popular News

HOT NEWS

- Advertisment -
Google search eng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