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일, 5월 12, 2025
No menu items!
spot_img

스트리트 브랜드, 페이크가 아닌 정석만이 통합니다

요즘 패션 업계는 스트리트 브랜드가 트렌드를 주도한다고 할 정도로 이들의 영향력이 크게 중가하고 있다. 이 분야의 대부 격인 세계적인 스트리트 브랜드인 수프림의 행보는 매번 화제다.

수프림은 지난해 루이비통과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해 이슈와 함께 강력한 브랜드 파워를 다시 한번 증명했다. 우리나라에도 패션계를 주도하는 스트리트 브랜드가 있다. 대표 브랜드 중 하나인 ‘LMC’를 전개하는 (주)레이어의 신찬호 대표는 스트리트 브랜드는 고유의 문화가 있고, 이를 이해하고 즐기는 사람들이 만들어야 성장이 가능하다고 말한다.

“어떤 문화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체험해 보지 않은 사람이 관련 행사를 연다고 하면 아무도 가지 않을 거에요. ‘저건 뭐지? 왜 하는 거야?’라는 말이 바로 나오게 되죠. 해당 문화에 대한 공감과 이해가 부족한 사람이 하는 행사는 사실 흉내를 내는 코스프레 같은 것이라고 생각해요. 이쪽 사람들은 이와 같은 것을 페이크라고 여기고 제일 싫어하죠.”

신 대표는 어떤 분야를 잘 모르는 사람이 무엇인가를 한다고 하면 그 일이 어설프고, 완성도가 떨어지듯이 스트리트 문화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이 만든 스트리트 패션은 아마 오래 가지 못하고 페이크로 취급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다.

스트리트 브랜드들이 어려운 시기에도 성장이 계속되는 이유는 바로 브랜드가 지니고 있는 문화 즉, 음악, 미술, 공연, 액티비티 등에 대한 이해도가 있고, 이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즐겁게 만들기 때문이라는 것. 브랜드가 추구하는 문화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이를 즐기지 못하는 사람이 만든 옷은 마지못해 어쩔 수 없이 하는 일처럼 어쩌면 진정성이 결여된 옷으로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이다.

“타 브랜드의 롱티(long T-shirt)가 4만9000원이라면 저희는 5만9000원에 판매합니다. 만원 정도 더 비싸요. 가격보다 실제 제대로 오랫동안 입일 수 있는 좋은 옷을 만드는 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죠. 저흰 품질이 좋은 옷을 만들기 위해 좋은 원단이 필요한데 시장에서 찾을 수 없어 직접 원단을 재직해 사용합니다. 후디, 티셔츠, 체크 패턴 원단 등 모두 자체 재직한 원단으로 사용해요. 결국 이렇게 하다 보면 비용이 높을 수밖에 없고, 남들보다 조금 높여서 팔 수 밖에 없게 되더라고요. 이익을 많이 보기 위해서가 아니라, 제대로 된 옷을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신 대표는 소비자에게 제대로 된 옷을 만들어 정직하게 출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좋은 품질의 원단과 뛰어난 봉재를 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싼 원단으로 만들면 옷은 세탁하자마자 축 늘어지고, 볼품이 없어지죠. 하지만 저희가 만든 옷은 각이 산다고 할까? 오랫동안 입어도 크게 변형되지 않아요. 자세히 보면 두께도 적정하고, 좋은 원단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죠. 수프림도 마찬가지예요. 정말 디테일까지 꼼꼼하게 확인하고 완성도를 높여 만든 옷입니다. 수프림을 자세히 보니 하나도 허투루 만들지 않더라고요. 그게 유명 브랜드의 실력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신 대표는 옷을 보면 그 회사의 가장 큰 목적이 돈에 있는지, 품질에 있는지 알 수 있다고 말한다. 가죽으로 만든 라이더 재킷의 경우 뒷면에 여러 원단을 이어 붙여 만든 것과 전체를 하나의 원단으로 만든 것을 서로 비교해 보면 옷을 통해서도 그 목적을 알 수 있다고 했다.

“여러 원단을 이어 붙여 만든 재킷은 싼 조각들을 모아 만든 것으로 수익에 목적이 있다고 볼 수 있어요. 그리고 온전한 하나의 원단으로 만든 옷은 비싼 원단이기 때문에 이는 우선 품질에 목적을 둔 것이라는 판단이 가능하죠.”

신 대표는 싼 옷을 만드는 것이 나쁘다라고 말하는 게 아니라, 브랜드 경영자의 브랜드 철학이 다르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옷을 잘 만드는 회사도 많고, 오로지 싸게 만드는 데 목숨을 거는 회사도 많죠. 결국 옷을 만드는 것은 경영자의 판단과 결정이라고 생각해요. 저는 대충 한번 입고 버리는 옷을 만들고 싶지 않았어요. 쪽 팔리는 옷을 만들고 싶지 않고, 구린 옷은 절대 만들 수 없다는 게 제 철학입니다. 잘못 만들면 브랜드 이미지가 실추되고, 고객은 다시 사고 싶지 않게 되죠. 그래서 고객들이 느끼는 첫 경험이 무척 중요합니다. 옷을 처음부터 제대로 잘 만들어야 하는 이유가 여기 있습니다.”

신 대표는 유행에 민감하지 않고, 언제든 입을 수 있는 디자인이 강점인 ‘라이풀(LIFUL)’, 스트리트 감성이 짙은 ‘LMC’, 여성 비중이 높은 TD캐주얼 ‘칸코(KANCO)’ 등 3개의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다. 이들 세 브랜드는 올해 들어 5월까지 전년대비 100% 신장세를 보일 정도로 탄탄한 브랜드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모두가 어렵다고 아우성인 요즘 오히려 남다른 성장을 이어가고 있어 더욱 주목되고 있다. 이는 옷의 완성도에 고집스러울 정도로 집중하는 신 대표와 브랜드 고유의 문화와 컨셉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직원들이 즐기면서 자발적인 브랜드 운영에 참여하고 있는 덕분으로 해석된다.

㈜레이어의 주요 판매 유통 채널은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서울 명동 눈스퀘어점과 압구정점 세개의 오프라인 매장과 자사몰과 무신사 등의 온라인몰, 그리고, 국내외 바이어에 의한 홀세일 유통으로 크게 나눠진다.

RELATED ARTICLES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Popular News

HOT NEWS

- Advertisment -
Google search eng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