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쇼핑의 3분기 실적이 중국 사드(THAAD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영향으로 직격탄을 맞았다.
롯데쇼핑은 3분기 지난해 같은 기간대비 영업이익이 57.6% 급감한 745억원을 기록했으며, 매출은 3.7% 하락한 7조5780억원을 기록했다고 26일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를 통해 밝혔다.
롯데쇼핑에 소속된 사업부는 롯데백화점, 롯데마트, 롯데하이마트, 세븐일레븐에 롯데의 금융사업부 등이 속해 있다. 이 가운데 롯데백화점은 3분기 매출 1조9020억원, 영업이익 570억원을 달성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6%, 8.6% 소폭 감소했다. 하지만 사드 사태의 직격탄을 받은 롯데마트의 경우 하락폭이 더욱 커 3분기 매출 1조9450억원을 기록하면서 전년 동기보다 10.9% 감소, 영업이익 860억원 적자를 냈다. 특히 사드 사태로 인한 중국지점의 매출 하락폭이 커 이곳에서만 1010억원의 적자를 내 전체 영업이익 급감의 결정적 원인이 됐다.

결국 롯데쇼핑은 이러한 크게 하락한 3분기 실적과 함께 국내·외 자산 재평가로 인한 가치 하락까지 이번 분기에 모두 반영해 5332억원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반면 소속 사업부 중 롯데 하이마트는 매출과 영업이익이 크게 상승해 전체 롯데쇼핑의 실적 하락을 방어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3분기 매출 1조1820억원, 영업이익 810억 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대비 각각 5.4%, 21.8% 상승한 것. 편의점 세븐일레븐의 경우는 매출 1조410억 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4.7%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27.0% 감소한 170억원을 기록했다.
향후 롯데쇼핑은 중국 롯데마트 사업의 경우 매각 주관사를 선정해 매각에 나서 추후 손실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반면 중국 대신 베트남이나 인도네시아 등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롯데 하이마트의 경우는 온라인 쇼핑 강화, PB 상품 확대 등을 통해 지속 성장을 이어가고, 세븐일레븐의 경우는 신상품 개발, 비효율 점포 폐점 등으로 실적 개선에 앞장설 방침이다. 또한 롯대백화점은 신규 테넌트 개발과 검증된 인기 테넌트를 지속적으로 도입하고, 효율을 높이기 위한 수익성 사업에 전력을 다할 방침이다.

이번 실적 악화에 대해 롯데쇼핑 관계자가 한 언론과 인터뷰를 진행한 내용에 따르면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롯데마트의 실적이 대폭 악화되는 결과로 나타났고, 최근 지주사 전환 등의 기업 환경 변화에 따른 국내외 자산에 대한 가치를 재평가한 결과를 3분기 실적에 반영해 큰 폭의 당기순손실 적자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