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 AI 플랫폼 ‘빔(VIIM)’이 서비스 고도화가 순조롭게 착착 진행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패션 업계에 앞선 AI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패션 AI플랫폼 ‘빔(VIIM)’이 플랫폼 고도화를 위해 기존 기능 업그레이드는 물론 새로운 기능을 개발해 서비스를 앞두고 있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바이스벌사(대표 안명훈)는 2023년 상반기에 생성형 AI기술을 기반으로 누구나 쉽게 디지털 패션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패션 AI플랫폼 ‘빔(VIIM)’을 론칭했다. 처음 공개 때부터 ‘빔(VIIM)’은 텍스트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원하는 패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프로덕션(PRODUCTION)’ 기능을 탑재해 패션과 유통 업계로부터 집중 조명을 받아왔다.

‘프로덕션’은 각자가 가진 상상 속의 이미지를 AI를 통해 손쉽게 디지털 상의 실제 이미지로 만들어 낼 수 있는 기능으로, 이미지화가 필요한 패션 실무에 적용할 수 있어 기대감이 높아진 상태다.
‘빔(VIIM)’이 프로덕션 기능과 함께 선보인 또 하나의 기능은 포토슛(PHOTO SHOOT)이다. 포토슛은 ‘빔(VIIM)’의 일반 사용자(USER)가 자신의 패션 룩북을 손쉽게 만들 수 있는 기능이다. ‘빔(VIIM)’ 사용자가 자신의 사진을 업로드하면 생성형AI가 패션 룩북을 자동으로 만들어 주는 기능으로 재미까지 더해 인기를 얻고 있다.
나아가 포토슛은 사용자 자신이 유명 브랜드의 모델이 된 룩북 생성도 가능하다. 브랜드들이 제공한 제품 룩북 콘텐츠 위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을 업로드하면 해당 브랜드의 모델이 된 룩북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또한 브랜드들은 포토슛 기능을 활용해 ‘룩북 마케팅’도 진행하고 있다. 최근 A브랜드는 사용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룩북 컴페티션을 열어 브랜드와 제품의 알리는 기회로 활용한 것이다.

‘빔(VIIM)’은 최근 이러한 ‘포토슛’ 내에 고도화를 위한 또 하나 기능으로 ‘커머스’ 기능을 만들었다. 전문가 그룹인 크리에이터들이 룩북을 만들어 업로드하면 해당 룩북(포토슛)을 ‘커머스’ 기능을 통해 사고 파는 거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크리에이터들은 ‘포토슛’ 기능을 활용해 창작 활동은 물론 ‘커머스’ 기능을 통해 자신이 만든 콘텐츠를 거래함으로써 수익까지 얻을 수 있게 됐다. 이때 발생되는 수익은 마켓 플레이스 역할을 한 ‘빔(VIIM)’과 일정 부분 쉐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빔(VIIM)’은 조만간 또 하나의 기능을 론칭해 서비스 고도화를 진행한다. 바로 ‘챌린지(CHALLENGE)’라는 기능으로 한 가지 주제를 가지고 여러 사용자가 자신의 창작물을 업로드하면, 해당 창작물을 놓고 서로 간에 의견을 나누고, 우수한 작품을 뽑는 기능을 말한다.

따라서 ‘챌린지’ 기능은 기업들이 사용자(소비자)들의 참여를 통해 ‘마케팅 캠페인’을 펼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예를 들어 친환경 패션 브랜드가 ‘챌린지’ 기능을 활용해 ‘친환경 패션’이라는 주제로 고객 참여형 캠페인을 펼친다면 이에 참여한 사용자들이 올린 다양한 친환경 콘텐츠를 확보하는 것은 물론 인지도 상승까지 얻을 수 있다.
이처럼 패션 AI분야에서 앞선 행보를 보이고 있는 ‘빔(VIIM)’은 남다른 경쟁력으로 사업 초기부터 유수의 패션 기업들과 업무 협력을 맺고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APR, 코오롱FNC, 서울패션위크 등의 기업이 있으며, 서울패션위크에서는 패션쇼에 참여하는 디자이너 브랜드들과 협업해 AI를 활용한 디지털 콘텐츠 생성 이벤트를 펼쳐 큰 호응을 이끌어 냈다.
김근재 바이스벌사 CEO는 ”빔(VIIM)을 활용하는 사용자와 기업이 계속해서 늘고 있다. AI가 패션산업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한 사용자와 기업들이 실제 업무에 적용되는 사례들을 경험하면서 점차 속도가 붙고 있는 상태다. 국내 뿐만 아니라, 글로벌 사용자들도 늘고 있어, 조만간 AI 패션 콘텐츠를 활용한 ‘글로벌 패션위크’ 행사 개최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구상 중에 있다”고 밝혔다.